
안녕하세요, 오늘은 방금 끝난 2025 캐나다 연방총선 소식을 요약해서 전해드릴게요. 📊
캐나다의 선거 시스템, 주요 정당들의 성적표, 그리고 핵심 지역들까지 정리했으니
이민자나 유학생 분들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!
🗳️ 총선 결과 한눈에 보기
- **마크 카니(Mark Carney)**가 이끄는 **자유당(Liberal Party)**이 168석을 확보하며 소수 정부 구성에 성공할 것으로 보입니다.
- 다만 **과반(172석)**에는 약간 못 미쳤어요.
- 보수당의 피에르 푸아리에브르(Pierre Poilievre)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에서 낙선하는 충격적인 결과를 맞이했습니다.
- 신민주당(NDP) 대표 자그밋 싱(Jagmeet Singh) 역시 지역구를 잃었고, 3위에 그쳤습니다.
📉 정당별 주요 성적 (99% 개표 기준)
정당
|
선두 지역 수
|
비고
|
자유당
|
168
|
과반에 4석 부족
|
보수당
|
144
|
제1야당 유지
|
블록 케벡당
|
23
|
퀘벡 주 전용
|
신민주당(NDP)
|
7
|
지지율 12%p 하락
|
녹색당
|
1
|
이번 선거에서는 자유당과 보수당의 지지율이 모두 상승한 반면,
NDP는 12%포인트 가까이 지지율이 감소하며 존재감을 잃었습니다.
📍 주요 지역 분석
🔴 토론토 & 광역지역 (905 지역)
- 토론토 시내 대부분은 자유당이 석권했고,
- 2024년 보궐선거에서 잃었던 세인트 폴(St. Paul's) 지역도 탈환했습니다.
- 그러나 광역권에서는 보수당이 9개 지역구를 탈환하며 존재감을 보였습니다.
- NDP는 해밀턴 센터(Hamilton Centre) 지역구를 자유당에 빼앗겼고,
- 해당 지역은 20년 이상 NDP의 텃밭이었습니다.
🔵 주별 의석 분포
주
|
자유당
|
보수당
|
기타
|
온타리오
|
69
|
53
|
-
|
퀘벡
|
43
|
11
|
블록 케벡당 23, NDP 1
|
브리티시컬럼비아
|
19
|
20
|
NDP 3, 녹색당 1
|
앨버타
|
2
|
34
|
NDP 1
|
마니토바
|
6
|
7
|
NDP 1
|
사스캐처원
|
1
|
13
|
-
|
노바스코샤
|
10
|
1
|
-
|
뉴브런즈윅
|
6
|
4
|
-
|
뉴펀들랜드-래브라도
|
5
|
2
|
-
|
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
|
4
|
-
|
-
|
북서준주
|
1
|
-
|
-
|
유콘
|
1
|
-
|
-
|
누나붓
|
-
|
-
|
NDP 1
|
온타리오와 퀘벡에서의 압도적인 자유당 승리가 이번 선거 결과를 결정짓는 핵심이었습니다.
🗳️ 카를튼(Carleton) 선거구 이슈
피에르 푸아리에브르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 온타리오주 카를튼에서 낙선했습니다.
후보
|
득표율
|
전 선거 대비
|
자유당 (Bruce Fanjoy)
|
51%
|
+19
|
보수당 (Poilievre)
|
46%
|
-6
|
NDP (Beth Prokaska)
|
1%
|
-10
|
해당 선거구에는 무소속 포함 90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며, 대부분은 선거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단체와 연관된 인물들이었습니다.
🔄 선거 제도 간단 정리
캐나다는 ‘단순다수제(First-Past-The-Post)’ 방식을 사용합니다.
즉, 각 선거구에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1명이 당선되어 하원의원이 됩니다.
이 때문에 소수정당의 득표율이 의석으로 잘 연결되지 않는 한계가 있습니다.
- 자유당 + 보수당 = 전체 의석의 약 90% 차지
- NDP는 6%의 득표율에도 불구하고 2%의 의석만 확보
📈 투표율 변화
연도
|
투표율(%)
|
2004
|
61
|
2006
|
65
|
2008
|
59
|
2011
|
61
|
2015
|
68
|
2019
|
67
|
2021
|
66
|
2025
|
67 (잠정)
|
📌 사전투표에 700만 명 이상 참여,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.
✍️ 마무리
이번 선거는 자유당의 승리, 보수당 대표의 낙선, 그리고 NDP의 약화라는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.
캐나다의 정치지형이 앞으로 어떻게 재편될지 주목해봐야 할 것 같네요.
궁금하신 내용이나 지역구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